“1박에 200만원이라고요? 제주도는 양반이었네요.” 다가오는 부산 불꽃축제를 앞두고 지역 숙박업소들이 천정부지 요금 인상에 나서며, ‘바가지 논란’이 전국으로 번지고 있습니다. 불꽃놀이를 빌미로 한밤 요금이 최고 200만원까지 치솟은 상황에 여행자들은 분노하고, 업계는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을 반복 중입니다.
숙박비 65만원 → 하루 만에 200만원? 실제 피해 사례는?
서울에 거주하는 20대 A씨는 11월 예정된 부산 수영구 광안리 해변 불꽃축제를 보기 위해, 인근 숙소를 1박 65만원에 사전 예약했습니다.
하지만 예약 다음 날, 숙소 측은 “불꽃축제 날짜와 겹쳐 추가 요금 135만원이 필요하다”며 결제를 강요했고, 이를 지불하지 않으면 예약은 무효라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즉, 불꽃축제 하루에 1박 숙박비가 200만원으로 ‘급등’한 것입니다. 이 같은 행태는 A씨의 사례만이 아닙니다. 인근 호텔들도 불꽃축제 당일 1박 요금을 100만 원 이상으로 책정하며 불꽃놀이 ‘뷰 프리미엄’이라는 명목 아래 가격 인상을 정당화하고 있습니다.
‘축제 특수’냐 ‘편법 장사’냐? 반복되는 바가지, 근거는?
부산만의 일이 아닙니다. 작년 서울 여의도 한강공원에서 열린 서울세계불꽃축제 당시에도 근처 숙박업소와 오피스텔 등이 하룻밤에 수십~수백만 원에 방을 내놓아 온라인 커뮤니티와 언론에서 비판 여론이 폭발한 바 있습니다.
예컨대 콘래드 서울은 불꽃 뷰 스위트룸 1박을 300만원에 판매하며 “뷰 프리미엄은 선택사항”이라고 밝혔지만, 실제론 해당 기간 일반 객실의 3~4배 이상 요금이었습니다.
업체 측은 대규모 예약 취소 노쇼 리스크와 “연 1회 특수수요에 따른 가격 탄력성”을 내세우고 있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계약 후 일방적인 요금 인상이 ‘법적 문제’로까지 비화할 수 있습니다.
공중위생관리법 제4조에 따르면 숙박요금은 미리 명시하고, 이를 위반 시 6개월 이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 벌금에 처할 수 있습니다.
지속된다면 ‘제2의 제주’ 전락? 지역 이미지 타격도 현실화
불꽃축제를 빌미로 한 바가지 요금 논란은 단순 숙박비 문제를 넘어 지역 도시 브랜드 이미지 훼손이라는 부작용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제주도는 지난 수년간 성수기 숙박요금, 렌터카 요금 폭등 문제로 인해 ‘가성비 최악 여행지’라는 인식을 소비자 사이에 낳았고, 이로 인해 국내 대신 동남아 등 해외여행 수요가 증가하기도 했습니다.
부산 역시 불꽃축제 당일 숙소 바가지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를 경우, 장기적으로는 내국인 여행수요 감소 → 지역경제 타격이라는 연결고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여행업계 한 관계자는 “불가피한 요금 인상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업계의 자정노력 없이는 결국 전체 도시 이미지가 망가질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불꽃놀이 하루, 소비자에겐 소중한 추억이지만, 업계에겐 단기 수익의 기회입니다. 하지만 그 기회가 과도한 욕심으로 바뀔 경우, 결국 여행자들은 외면하고 도시 이미지는 훼손될 수밖에 없습니다.
소비자는 예약 전 ‘요금 고지 및 계약 조건 확인’을 반드시 점검하고, 지자체와 관광공사 등은 사전 요금 공개 및 불공정 사례 모니터링 강화에 나설 필요가 있습니다.
뉴스만 보고 끝내기엔 아쉽죠?
경제용어도 함께 알아두면 흐름이 더 잘 보입니다.
Post a Comment